关注
신호재
신호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在 kongju.ac.kr 的电子邮件经过验证
标题
引用次数
引用次数
年份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노은희
152018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
양정실
142015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노은희, 신호재, 이재진
교육과정평가연구 22 (3), 31-60, 2019
112019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민용성
82018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초· 중학교 교과간 연계· 융합 교육 적용 방안 연구
권점례, 이광우, 신호재, 김종윤, 김정효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3, 2015
82015
민주시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까지-민주시민교육의 확장 가능성과 도덕교육적 의미 탐색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257-284, 2022
52022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신호재, 이수진
도덕윤리과교육, 189-211, 2019
52019
초등학교 도덕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과 과제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229-256, 2013
52013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기능 관계 분석 및 체계화 방안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313-335, 2020
42020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도덕과 성취기준 개선 방향 논의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215-242, 2017
32017
도덕과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 방안 연구-프로젝트 접근을 중심으로
신호재
초등도덕교육 68, 59-82, 2020
22020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도덕과교육의 역할
신호재
윤리교육연구 52, 1-44, 2019
22019
초등 도덕과 교과서 어휘 선정 실태 및개선방안 연구
신호재
초등도덕교육, 163-187, 2016
22016
학교폭력 예방에 있어 도덕적 공감의 이용 방안
신호재
초등도덕교육 44, 215-240, 2014
22014
모자이크를 위한 스케치: 마키아벨리의 공동체와 다문화교육
신호재
초등도덕교육 42, 125-150, 2013
22013
국가 인성교육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틀 연구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41-65, 2023
1202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도덕과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의 의의와 적용 방안 논의
신호재
도덕윤리과교육, 81-106, 2021
12021
포용적 민주시민교육 실행을 위한 전제 논의
신호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3-57, 2019
12019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실과 (기술· 가정) 과 교사의 인식 분석
이재진, 노은희, 신호재
실과교육연구 25 (3), 107-127, 2019
12019
도덕과교육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의 의의와 방안 탐색
신호재
초등도덕교육 59, 223-260, 2018
12018
系统目前无法执行此操作,请稍后再试。
文章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