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H Jo, YA Ra, J Lee, WH Kim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4 (4), 333-344, 2016 | 56 | 2016 |
국내 진로 및 직업상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상담학회 및 상담심리학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조항, 김계현, 이자명 상담학연구 10 (4), 2099-2113, 2009 | 31 | 2009 |
Statistical literacy as a function of online versus hybrid course delivery format for an introductory graduate statistics course DL Hahs-Vaughn, H Acquaye, MD Griffith, H Jo, K Matthews, P Acharya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25 (3), 112-121, 2017 | 23 | 2017 |
대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및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신애, 조항 취업진로연구 10 (2), 91-110, 2020 | 8 | 2020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in Korea: Based 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H Jo, KH Kim, JM Yi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 (4), 2099-2113, 2009 | 8 | 2009 |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법제도 관련 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제영수, 조항 상담학연구 21 (1), 49-67, 2020 | 6 | 2020 |
Resilience Experiences of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US Education Doctoral Programs. HE Acquaye, H Jo, A Gungor Journal of Pedagogical Research 1 (1), 21-33, 2017 | 6 | 2017 |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박효은, 정난희, 조항 연구방법논총 6 (3), 255-278, 2021 | 5 | 2021 |
장애 대학생을 위한 예비 진로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원호, 조항 취업진로연구 2 (1), 21-44, 2012 | 4 | 2012 |
상담전공 학부생에게 요구되는 졸업생 역량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조항, 금창민 교육치료연구 14 (1), 43-59, 2022 | 3 | 2022 |
Introducing Korean adolescent counselling systems: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H Jo, N Kim, E Yoo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22 (1), 74-82, 2022 | 3 | 2022 |
대학생의 죽음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김은숙, 조항 연구방법논총 5 (2), 29-49, 2020 | 3 | 2020 |
Research Trends in Trauma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1-2017) JR Kim, H Jo, YJ Ja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 (1), 67-91, 2019 | 3 | 2019 |
대학생 개인진로상담에서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강민철, 이아라, 신미라, 이용석, 조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 (2), 383-408, 2017 | 3 | 2017 |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Distress Surrounding COVID-19. NH Jung, H Park, H Jo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11 (2), 41-55, 2021 | 2 | 2021 |
기혼여성 디자이너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미영, 조항 질적탐구 6 (3), 499-535, 2020 | 2 | 2020 |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은선, 조항 교원교육 36 (1), 43-68, 2020 | 2 | 2020 |
상담전공 학부생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 및 예측요인 연구 이아라, 조항, 김영근, 이주영 상담학연구 19 (5), 75-92, 2018 | 2 | 2018 |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f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in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강민철, 이아라, 신미라, 이용석, 조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 (2), 383-408, 2017 | 2 | 2017 |
코로나 19 재난상황을 경험한 국내 의료진의 심리사회적어려움 및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조항, 금창민, 김기정 상담심리교육복지 9 (5), 113-135, 2022 | 1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