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이부모의흡연행태에미치는영향: 이론적분석및패널자료를이용한실증분석

김현재, 최한실 - 한국경제연구, 2020 - dbpia.co.kr
김현재, 최한실
한국경제연구, 2020dbpia.co.kr
본 연구는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흡연에 따른
간접흡연이 자녀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이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반대로 자녀의 유무 혹은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지금까지 전무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론 모형을 이용해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출산 후 흡연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성의 …
본 연구는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흡연에 따른 간접흡연이 자녀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이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반대로 자녀의 유무 혹은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지금까지 전무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론 모형을 이용해 출산이 부모의 흡연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출산 후 흡연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성의 경우, 출산 후 4년 동안은 출산 효과가 흡연량을 감소시키고 그 이후에는 출산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돌아가는 결과를 보여 성별에 따라 출산이 흡연 행태에 미치는 효과의 방향이 상반되었다.
dbpia.co.kr
以上显示的是最相近的搜索结果。 查看全部搜索结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