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이 논문은 조직 동일시를 다룬다. 특히, 대학생 동아리 단체의 구성원들 (N= 59) 의 조직 동일시와그룹 동일시가 특정한 조직 차원의 행동이나 태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검증하려고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조직 동일시와 결과 변수간의 상관관계가증명되었다 (가설 1, 2). 또한 Bergami 와 Bagozzi (2000) 가 검증한 정서적 몰입과 OBSE 의 매개효과를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가설 3). 그러나 본 연구는 더 나아가, 그룹 동일시와 조직 동일시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가설 4). 즉, 조직 동일시는 그룹 동일시와 정서적 몰입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조직 동일시나 정서적 몰입이 OCB 에 주는영향에 대한 혼동된 연구 결과의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동일시를 기반한 정서적 몰입만이 OCB 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OCB 의 선행 요인은 동일시에 기반한 정서적 몰입이라는것이다. 또한 연구 결과는 조직 차원의 태도나 행동 변수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룹 차원의 심리적상태 등이 조직 차원의 심리적 상태에 먼저 이르러야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그룹동일시는 직접적으로,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줄 수 없고, 조직 동일시로 먼저 이어져야 한다는것이다. 특히, 이 결과는 학생 오케스트라 조직이 자신들이 속한 그룹과 조직 사이가 사회적으로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논문의마지막에서 저자들은 연구의 한계점 등을 토의하고, 또한 관리적인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