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살아야행복한, 중년남성의삶: 4050 세대1 인남성가구의사회적관계와주관적행복감을중심으로: 4050 세대1 인남성가구의사회적관계와주관적행복감을중심으로

권혁철, 김형용 - 사회과학연구, 2017 - dbpia.co.kr
최근 중년 남성 1 인 가구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남성 1 인 가구 중 4050 세대는 2000
년 기준 25.4% 에 불과하였으나 불과 15 년 만에 39.3% 까지 증가하였다. 홀로 사는 남성 열 명 …

자산과소득에따른차별출산력연구

김현식 - 한국인구학, 2017 - dbpia.co.kr
최근 15 년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이
연구는자산과 소득변수가 자녀 순위별 출산율에 주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이러한 …

[HTML][HTML] 가족사회학연구의동향과전망

함인희 - 한국사회, 2014 - kci.go.kr
이 글은 지난 50 여년의 가족사회학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현재의 위상을 성찰해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Ⅱ 장에서는 가족사회학 연구 분야의 흐름을 시대별 주제별로 …

[PDF][PDF] 비혼을통해본결혼의탈제도화와문화적영향력의지속

가족과 - 가족과문화, 2017 - academia.edu
* 이 논문은 석사논문 비혼자의 결혼인식과 대안적 관계형성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이 논문은
2017 년도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의 일환인 연세대학교 '사회적 연대와 공존'사업단의 …

성역할태도-영유아돌봄태도의군집유형과영향요인에관한연구

이혜정, 송다영 - 페미니즘연구, 2020 - dbpia.co.kr
본 연구는 대표적 젠더의식인 성역할태도와 돌봄에 대한 태도가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지
않고 다기하게 분화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역할태도와 …

발전주의인구레짐의확산과한계: 세계출산율추이분석, 1950~ 2020 년

박경숙, 이상직, 육영우 - 한국사회학, 2023 - dbpia.co.kr
이 연구는 초저출산 현상에는 인간, 경제, 자연의 생태 불균형이 작용한다는 전제에서 발전주의
인구레짐의 확산과 한계를 개념화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출산율 감소의 추이와 …

개인화와성별분업: 패널자료를이용한가족형성기여성의성역할태도분석: 패널자료를이용한가족형성기여성의성역할태도분석

허은 - 한국사회학, 2017 - dbpia.co.kr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성역할 태도가 가족형성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성별분업의 향방을 가늠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 (KLoWF) …

무자녀와한자녀여성의출산계획유형에영향을미치는요인: 자녀가치관과부부평등성요인을중심으로

강유진 - 2020 - repo.kicce.re.kr
본 연구는 무자녀와 한자녀 여성의 출산계획에 따라 출산계획유형을 무자녀, 한자녀, 다자녀
집단으로 나누고, 출산계획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8 …

무자녀가족의출산계획: 무자녀지속, 출산유예, 출산희망유형간차이를중심으로

강유진, 차승은 - 한국인구학, 2024 - dbpia.co.kr
합계출산율이 기록적인 최저치로 계속 하락함에 따라, 무자녀가족의 특성을 밝히는 일이
중요해졌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출산 경로를 선택하지 않는 사람들의 특성과 태도를 …

무자녀율변화추세및변화에영향을미치는사회· 경제적요인에관한연구: 1990~ 2010

김한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 - dbpia.co.kr
본 연구는 1990 년부터 2010 년까지 20 년 동안 한국의 16 개 광역자치단체의 무자녀율의 변화
추이와 그러한 무자녀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