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아동의읽기특성에대한인지· 언어학적접근: 안구운동추적방법의적용가능성

강해수, 최소영 - 특수교육논총, 2020 - dbpia.co.kr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능력 연구의 다양화를 위해
안구운동추적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국내외 문헌들을 통해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

어머니평가로본다문화가정유아의한국어능력에따른집단간가정특성및가정언어· 문해환경의차이: 중국인이민자가정을중심으로: 중국인이민자가정을중심으로

양민화, 저신수, 김보배 - 특수교육, 2018 - dbpia.co.k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

만화독서프로그램이이주배경청소년의한국어능력과문화적응력향상에미치는영향

임여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9 - kiss.kstudy.com
본 연구는 소수의 이주배경 청소년이 연구자와 함께 6 개월간 10 권의 만화책을 읽고 그에
관하여 토론하는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독서 프로그램의 참여가 이들의 한국어 능력과 …

문화와언어가다양한환경에서한국교사들의탐구와언어에대한태도와자아효능감에대한연구

차은희 - 2015 - s-space.snu.ac.kr
한국은 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2010 년
전체학생의 0.44% 였던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2014 년에는 1.07% 로 2 배가 넘을 정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