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 2018 결과에나타난우리나라학생들의읽기성취특성연구

이인화 - 우리말글, 2020 - dbpia.co.kr
이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읽기 영역 결과 분석을 통해, 한국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PISA 2018 에서 한국의 평균점수는 514 점이었고, 순위는 OECD 회원국 중 2∼ …

발표불안이높은학습자를위한발표교육연구

최나은 - 2017 - s-space.snu.ac.kr
본 연구는 발표 불안 수준에 따른 발표 양상을 탐색함을 통해 발표 불안이 높은 학습자를 위한
발표 교육을 설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발표 불안 수준에 따른 발표 수준의 …

성인의작문과문법에대한인식및능력조사

김정선, 이삼형, 김시정 - 국어교육연구, 2016 - scholarworks.bwise.kr
언어에 관한 앎, 즉 문법적 지식은 음운, 어휘, 문장, 담화 등 다양한층위에 존재하며 독서 (읽기),
작문 (쓰기), 화법 (말하기․ 듣기) 등 국어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머릿속에 있는 …